해저지형조사

해 양 지 식 2006. 3. 25. 23:18
해저지형 조사

일반적으로 해저지형은 육상지형에 비하여 국부적인 기복이 적고, 경사는 완만한 편이다. 깊이에 따라 다음의 네 가지로 나뉜다

대 륙 붕
대륙붕의 수심은 35 ∼ 240m의 범위를 나타내며, 전세계에 분포 하는 대륙붕의 평균수심은 128m이다. 바다쪽 한계는 기울기가 급변하는 곳이며, 이 부분이 바로 대륙붕과 대륙사면의 경계 부분이다. 대륙붕의 평균기울기는 약 1 : 500 또는 2m : 1km의 기울기를 가지며, 약 0°07'경사도로 나타난다. 폭은 거의 없는 상태에서 최대 130km의 범위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기복은 낮으며 20m내외의 자연적 기복을 가진다.
대륙사면
대륙붕에서 바다쪽으로 연장된 해저지형으로 비교적 급한 기울기를 가지는 해저이다. 평균수심 3,660m까지 발달하며 대륙사면이 깊은 해구로 연결되는 경우는 8,200m의 수심까지 이른다. 대륙사면의 기복은 1,000m 이상에 달하며, 특히 해저 협곡에서는 큰 기복이 있다.
대심해저
평원과 구릉으로 구성된다. 심해저 평원은 1:1,000 이하의 기울기를 가지며, 심해저 구릉은 집단적으로 모여 발달되며, 작고 다소 낮은 언덕형 지형이다. 심해저 평원은 저탁류에 의해서 운반된 퇴적물이 넓은 범위로 퍼져 퇴적되어 형성된 것이다.
해구·해연
수심 6,000m 이상의 좁고 긴 요지를 해구라 하고, 그 중에 특히 깊은 곳을 해연이라고 한다. 해구는 호상열도와 관련되어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25∼27개의 해구가 있다. 해구의 폭은 20∼60km의 범위이다. 그 단면형은 V자형이고, 상부에서의 경사는 5∼6°, 하부에서는 20°이상에 달하는 것도 있다. 이 밖에 뚜렷한 기복의 지형으로는 해저 돌출부 ·대륙대 ·해중산 ·평정해산 등이 있다.


국립해양조사원에서는 항만이나 주요항로, 연안에 대한 수심, 해안선의 형상, 해저지형, 암초의 위치 및 높이, 해저질, 해수의 유동 등을 규명하기 위한 조사를 시행하고 있으며 그 성과를 토대로 해도 등 수로 도·서지를 간행·서비스하고 있다.


'해 양 지 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치측량  (0) 2006.03.25
수심측량  (0) 2006.03.25
조석관측  (0) 2006.03.25
해류관측  (0) 2006.03.25
수압관측  (0) 2006.03.25
Posted by 수퍼보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