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해양기본도 목적 | | 제2차 국가지리정보 기본계획(NGIS :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시행에 의거 정확한 해양관측 및 해양측량을 통하여 얻어진 해양조사정보와 해양공간정보를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구축함으로서 해양정보 인프라 확장 및 해상교통안전과 해양산업발전에 기여하고 대국민 편익 증대를 위하여 해양기본도 제작을 실시하고 있다. | | -
| 고비용으로 조사 측량된 자료를 활용하여 해양기본도(항만기본도, 연안기본도, 근해기본도) 제작 및 해양기본지리정보 DB 구축의 기반데이터로 사용. | | -
| 해양기본도를 국가항만행정에 지도기반으로 제공하고 향후 대국민 서비스의 기초자료로 활용 | | 구축방법 | | |  | 추진실적 및 향후계획 | | - 2004년도 현재 우리나라 주요 무역항(인천, 군산, 광양, 부산, 평택)을 대상으로 해양기본도 320도엽 구축 완료. - 향후 2010까지 우리나라 무역항 및 연안,근해에 대하여 해양기본도 구축 완료를 목표로 추진 중. | | | | | 기대 효과 | | - 해양기본지리정보 DB구축의 기반데이터 제공 - 항만별 도첩으로 도면화하여 국가항만기관에 제공함으로서 항로관리, 유지준설, 항만개발, 선석배정, 항만교통정보등의 해양행정 기초자료로 활용 - 고유목적으로 조사 측량된 고비용의 각종성과를 이용함으로서 측량성과의 활용 극대화 및 체계적인 관리 가능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