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적조

전남도 적조방제용 황토 금지 고수 '갈등' (광남일보 2013. 07.28(일) 18:11)

수퍼보이 2013. 7. 28. 23:18

전남도 적조방제용 황토 금지 고수 '갈등'

'스크루로 적조 몰아내기' 대안에 도의회ㆍ어민 '반발'
해수부 차관 29일 전남 방문… 갈등 해소 여부 주목

 

황토를 이용한 적조 방제를 놓고 해양수산부와 전남도, 양식 어민들이 예민한 갈등을 빚고 있다.

도는 적조 방제에 황토살포 금지 원칙을 고수하고 있는 반면, 해수부는 황토 살포를 허용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도가 대안으로 제시한 조기 출하, 사전 방류 등에 어민들은 "현실성이 없다"며 난색을 표하고, 지방의회에서도 황토 금지에 반발하고 나서 갈등은 좀처럼 출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전남도는 28일 적조 발생 해역에 도 해양수산과학원 여수센터 기술지도선까지 긴급 투입, 선박의 수류(水流)를 활용한 적조 방제활동을 펼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양식어민들이 소형 어선의 물살을 이용해 양식장으로 몰려드는 적조띠를 분산하는 이른바 '물갈이 작업'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해까지 적조방제에 사용했던 황토를 쓸 수 없게 되면서 어민과 방제당국이 하고 있는 고육지책인 셈이다.

특히 이 기술지도선은 적조 예찰업무를 전담했으나 양식장 주변을 맴돌며 방제작업에 나서는 실정이다.

황토살포 금지 지침은 지난 21일 양식어민과의 간담회에서 박준영 지사가 언급하면서 구체화했다.

박 지사는 "황토는 소중한 자원이고 해양생태계 2차 피해 우려가 있으며 실질적방제 효과도 없다"며 사용중단을 지시했다.

그러나 적조 발생 해역에서 황토 사용이 금지되면서 어민들의 반발은 물론 지방의회, 심지어 방제대책을 총괄하는 해양수산부까지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고 있다.

어민들은 "어떤 처방이라도 해야 할 판에 수년간 해왔던 황토살포를 금지시킨 것은 무책임한 처사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도의회 양경수 농수산위원장과 이광일(여수), 함채규(고흥) 의원도 지난 26일 지사실을 찾아 '황토 사용 금지 지시를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

함 의원은 "도지사가 황토 사용 불가의 원론적인 말만 해 답답하다"며 "도의회 차원의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해양수산부는 전남도의 황토 살포 금지에 대해 피해 발생시 국비지원 제외 등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전남도가 책임지라는 뜻으로 강한 불만이 내포돼 있다는 분석이다.

또 10년 넘게 연구해온 황토 효과에 대해 전남도가 객관적 근거 없이 부정한 것에 대해 국립수산과학원이 자료를 내는 등 불편한 속내도 드러냈다.

여기에 방제작업에 나서고 있는 일선 지자체 공무원들도 혼란과 함께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올초 황토 살포를 당연시한 방제대책을 세웠으나 적조주의보 발령 이후 사용 금지령이 내려졌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29일 오후 손재학 해양수산부 차관이 여수 해역과 전남도를 잇따라 방문할 예정이어서 황토살포를 둘러싼 해수부와 도의 날카로운 신경전이 해결점을 찾고 대체 방안에 대한 어민들의 하소연이 받아들여질 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편 남해안에서 기승을 부리고 있는 적조는 동해안인 경북 포항까지 확산됐으며 경남 통영 등에서는 물고기 수십만마리가 폐사하는 등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전남도 "황토 금지" vs 해수부 "국고 중단"

 (전남일보  2013. 07.26. 00:00)

뉴스분석 적조방제 '황토 살포' 논란 왜

 

박준영 지사
"황토, 생태계 파괴
재해보험 가입 등 적조에 미리 대비를"

해수부
"황토, 적조 제거에 탁월 과학적 근거 없는 금지
피해땐 국고 지원 제외"

혼란 빠진 어민들
박 지사 '금지 지시' 후 선박 이용 적조띠 분산
적조 대책 '갈팡질팡'


적조 발생시 황토를 살포하는 게 과연 안전할까? 황토를 이용한 방제 방식을 놓고 전남도와 해수부가 첨예한 갈등을 빚고 있다. 이 때문에 애꿎은 양식어민들만 혼란에 빠지고 있다. 황토 살포를 둘러싼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생태계 파괴 등 유해성 여부에 대한 과학적 근거가 마련된 적조 방제 가이드가 제시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황토 살포 방식 놓고 갈등

박준영 전남지사는 최근 남해안 적조 현장을 찾아 어민 등과 만난 자리에서 "황토는 소중한 미래자원이어서 아껴야할 뿐 아니라 (살포할 경우) 해양생태계에 피해를 줄 수 있고 실질적 방제효과도 없다"며 사실상 사용금지를 지시했다.

반면 해수부는 "과학적 근거없이 황토를 금지하는 건 온당치 않다"며 "피해 발생 시 국고지원 대상에서 제외시킬 수도 있다"고 으름장을 놓고 있어 황토 살포 유해성을 놓고 양측이 대립하고 있다.

우선 박 지사는 황토 살포 대신 적조가 발생하기 전에 어린고기 방류와 성어 조기출하, 가두리양식장 이동, 재해보험 가입 등의 노력을 기울여 적조 시즌에 미리 대비하라고 당부했다.

이에 해수부는 지난 17일, 18일에 이어 23일에도 공문을 보내 전남도의 황토 금지령에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해수부는 공문을 통해 "과학적 근거도 없이 황토 살포를 금지시키는 등 적조 방제를 제대로 하지 않아 양식장에 피해가 발생할 경우 국고지원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고 통지했다.

●"황토 살포 적조제거 탁월"

2차 오염 등의 이유로 전남도가 황토 살포 금지령을 내린 가운데 황토가 유해 적조 제거에 효과가 탁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은 이날 황토 살포에 따른 해양생태계의 영향을 연구한 결과, 황토가 유해 적조 생물 제거에 효과적이라고 밝혔다.

수산과학원은 황토는 산화철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응집력이 강해 적조생물 '코클로디니움'에 부착해 적조생물의 연결 부위를 끊고 세포가 파괴된 적조생물을 바닥으로 침하시키는 효과가 입증됐다고 설명했다.

박 지사가 밝힌 유해물질 침전에 따른 오염 문제에 대해서도 1999년부터 황토가 저서생태계(底棲生態系)에 끼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황토 살포 해역의 생태계에 별다른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창규 수산과학원 연구관은 "지난해 경남 창원에서 개최된 '국제 적조학회'에서 황토를 이용한 적조구제에 관한 특별 토론과 황토 살포 현장 시연을 통해 황토가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것이라는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말했다.

●어민 혼란…과학적 근거마련 시급

하지만 박 지사가 밝힌 '황토 적조구제 불확실' 발언과 해수부의 엇갈린 주장 때문에 어민들만 혼란에 빠지고 있다.

박 지사의 지시 후 여수와 고흥 인근 바다에 유해성 적조생물이 급증해 적조 특보가 내려졌음에도 황토 살포는 이뤄지지 않고 있고 어민들은 소형 선박을 이용해 적조띠를 분산시키는 소극적 대응에만 나서고 있는 실정이다.

어류 양식어민들도 "도지사의 말이 맞는지, 정부 기관인 수산과학원의 주장이 맞는지 몰라 헷갈린다"고 호소할 정도다.

어민들의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속히 황토 살포의 적절성 여부가 해소되도록 과학적 근거마련이 시급한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