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신설 관련, “수산계 사람이 없다” 이구동성 (수산신문 2013년 01월 19일 (토) 20:54:39)
해수부 신설 관련, “수산계 사람이 없다” 이구동성
외부서 영입해서라도 써야
O…해양수산부 신설과 관련, 부 직제 문제 등이 최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수산계 안팎에서 가장 강력하게 제기되는 문제가 ‘수산계 인재 기근’.
당장 해양수산부장관 인사와 관련, 천거할만한 수산계 인사가 전혀 없는 것은 물론이고 부 신설 후 배분해야 할 국장 자리마저 갈 사람이 부족한 게 현실. 그래서 수산계 일각에서는 “수산인이 아니더라도 과거 수산 행정을 했던 사람이나 친 수산계 인사로 분류할 수 있는 사람을 빌려 오더라도 데려 와야 하는 것 아니냐”는 얘기가 나오기도.
이는 그 만큼 인재 확보가 절박하다는 얘기인데 내부에서는 아무리 궁리를 해도 답이 나오기가 힘들어 보이기도. 때문에 해양수산부장관 자리에는 같은 1차 산업 관료 출신으로 농림부에서 주요 보직을 섭렵한데다 농특위원장 등을 역임하고 수산계 인맥이 있는 이상무 전 새누리당 농어촌 행복 추진단장을 차라리 수산계가 추천하는 모양새를 취하면 어떻겠느냐는 얘기가 수산계 일각에서 나오기도.
또 현재 농림수산식품부 수산 쪽 국장은 정복철 어업자원관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수산직이기 때문에 감사 재정 해양 등 공통부서에 갈 사람이 없어 농림수산식품부에서 원양협력관을 맡다가 현재 총리실 총무비서실장에 있는 이철우 국장을 수산 쪽 국장으로 편입하자는 얘기도 나오기도. 이는 “(수산 쪽에) 해주고 싶어도 사람이 없어 못 한다”면 할 말이 없기 때문.
어쨌든 지금 수산 쪽은 외부 인사를 영입하던 어떤 방법을 택하든 인재 확보에 열을 올려야 할 시간으로 보이기도.
해수부 신설 아닌 '부활'...과거 복귀 수준
(수산신문 2013년 01월 25일 (금) 21:28:33)
해양수산계 통합해양행정체계 구축 필요 주장
수산계 양식진흥국 신설 어촌지도직 복귀 요구
농림수산식품부의 수산 기능과 국토해양부의 항만, 해운 등의 기능이 신설되는 해양수산부로 이관된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22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한 정부조직개편 후속 조치를 발표했다.
인수위 발표에 따르면 기존 국토해양부의 해양환경, 해양조사, 해양자원개발 해양과학기술연구개발 및 해양안전심판에 관한 기능, 그리고 농림수산식품부의 수산 어업 어촌개발 및 수산물유통에 관한 기능, 문화체육관광부의 해양레저스포츠 기능이 신설되는 해양수산부에 이관된다.
그러나 이번 인수위의 발표는 과거 해양수산부 기능을 원상복귀하는 수준으로 당초 해양수산인들이 기대하던 기능과는 거리가 있어 해양수산인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 게다가 식약처에 수산식품안전기능의 일부가 이관될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수산물품질관리원의 기능이 과거보다도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해양수산계는 "국가 미래 성장동력인 해양산업의 육성을 위해서는 해양수산부 기능에 다른 부처의 해양관련 기능을 추가, 통합해양행정체제를 구축해야 한다"며 " 이를 위해 해양수산부 기능에 조선·선박금융·해양플랜트분야를 반드시 추가해 줄 것"을 건의했다.
그 동안 목소리를 내지 않던 수산계도 최근 '해수부 부활에 따른 수산업·어촌 회생을 위한 성명서'를 발표하고 △양식업을 진흥시키기 위한 해수부 내 '양식진흥국' 신설 △갯벌 및 간척지를 대규모 양식단지로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방안 마련 △수산·어촌 지도기능의 국가사무로의 환원 등을 요구했다.
전국의 수협 조합장들도 별도의 수산정책 건의서를 내고 △중국어선 불법조업 단속 강화 △수산해양 전문은행 육성 △각종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따른 수산업 경쟁력 제고방안 마련 △어업의 자연재난 지원대책 확대 등을 주문했다.
따라서 해양수산부 기능은 정부조직 개편안의 국회 상정 과정에서 조정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여 결과가 주목된다. <문>
“해양수산부 청사 부산 유치 안 된다”
(수산신문 2013년 01월 27일 (일) 19:44:20)
지자체 해양수산 관계자들 부산 유치 반대 주장
지자체 직원들 해수부만 가는 게 아니다”
O…해양수산부 청사 입지 문제가 아직 결론이 나지 않은 가운데 일부 지자체 해양수산 관계자들은 해양수산부 청사 부산 유치에 강력히 반대.
일부 지자체 관계자들은 “우리는 중앙정부에 갈 때 해양수산부만 가는 게 아니다” 며 “지자체 공무원들이 기획재정부 등 다른 부처에 가기 위해 세종 청사에 갔다가 다시 부산으로 가야 한다면 얼마나 아까운 시간과 경비를 낭비하겠느냐”고 반대 입장을 강력히 표시.
한 지자체 관계자는 “정부 청사를 이런 식으로 쪼개면 좋아하는 사람이 누구냐”며 “일부 지역민을 위해 정부 정부 청사를 특정 지역으로 옮긴다는 것은 아주 나쁜 선례를 만들게 될 것”이라고 지적. 그러면서 “옛날 해양수산부가 정부 청사와 별도로 나와 있을 때도 불편한 게 한 두가지가 아니었는데 몇 시간이 걸리는 지역에 떨어져 있으면 지자체 공무원들은 아예 일을 보지 않는 것이 더 나을 것”이라고 예상되는 어려움을 설명.
어쨌든 해양수산부 부산 유치는 업무의 효율성을 감안할 때 가서는 안 된다는 게 대체적인 여론으로 보이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