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해양 생물자원의 종류 | |  | 해양의 각종 생물자원들은 예로부터 인류의 중요한 식품 중의 하나로 큰 몫을 담당해 왔다. 오늘날 각종 해양 생물자원들은 미래의 단백질 공급원으로 각광받고 있는데, 세계각국은 인간의 힘으로 해양의 생산능력을 더욱 높임으로써 자원의 생산 잠재력을 향상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다. |  |
| | | 해산 식물(해조류) | | 바다에서 나는 식물 중에서 우리에게 익숙한 것은 김, 미역, 파래, 다시마 등 몇몇 종류에 불과하지만 고대로 부터 많은 해조류들이 사료, 비료 등으로 이미 이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천연물 추출기법을 이용하여 공업 원료나 의약품으로까지 사용되고 있다. 해조류는 상당한 양의 단백질과 비타민,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으며 의약품으로도 많이 이용된다. 해조에 포함된 성분 중에서 요오드는 갈조류에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의약품으로 사용된다.
아가(Agar)는: 점성을 지니고 있어 제빵, 제과업, 통조림 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데 최근에는 남획으로 인해 그 생산량이 줄어들고 있다. 카라지난(Carrageenan)과 푸셀라란(Fucellaran), 후노란(Funoran) 등은 식품, 약품, 화장품, 도료 등으로 이용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해조류의 이용 확대라는 측면에서 메탄이나 알콜 같은 연료 공급원으로서의 이용가치가 연구되고 있다. | | | 해산 무척추 동물 | | 무척추동물은 몸을 지탱하는 등뼈와 같은 골격이 없는 동물을 말하는데 동물계의 97%를 차지하고 있다. 갯지렁이류나 조개, 오징어와 문어 따위의 동물들이 이에 속한다. 이들 무척추 동물은 이미 오래전부터 인류의 식량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앞으로도 단백질원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해산 무척추 동물에는 여러 가지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그것을 분리, 정제하여 의약품으로 이용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우렁쉥이류에서 세포독성이나 항종야성을 보이는 물질들이 발견되기도 하였으며 산호류에서는 암치료제의 가능성이 있는 물질이 발견되기도 했다. 무척추동물 중에서 갯지렁이류와 연체동물 등에는 이동력이 없어 주로 저서생활만 하는 것이 있는데 이들 생물들은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므로 연안의 환경 상태를 파악하는 생물지표종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 | | 어 류 | | 전세계 해양의 어류 생산 잠재력을 정확하게 산출하기는 매우 어렵지만 최소 1억톤에서 9억톤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는 현재의 세계 총어획량의 최대 10배에 해당하는 양이다. 아직까지 많이 이용 하지 않고 있는 자원으로는 중층어류, 남극해의 크릴 새우, 오징어류 등의 연체류인데 앞으로 수산물 생산량 증가에 크게 기여 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의 수산물 생산량은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새로운 어장을 개발하고 연근해 의 목장화를 통한 양식산업을 발전시키는 것이 가장 유력한 방법이다.
그리고 현재 주요 어장이 북반구에 집중 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남극해와 인도양 남부 수역 등의 저개발 해역을 적극적으로 개발할 경우 어류 5천만톤과 저서어류 5천만톤 정도의 증산이 기대된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