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 양 지 식

천부 지층관측

수퍼보이 2006. 3. 25. 23:21
천부지층 관측 : 해저 퇴적물

해저지각의 구성 물질이나 용암이 식으면서 그 당시의 지구 자기장의 방향에 맞추어 정렬되어 만들어지는 해저 자기정렬 등의 조사는 현재 우리가 보고 있는 대륙의 모양이 어떻게 결정되었는가 하는 등의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사용된다. 또한, 현재는 각종 해양 자원의 분포와 구성 등을 알아내기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조사되고 있다.

해저지질조사는 음향탐사방법을 주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이것은 소리(음파)가 진행하는 도중 매질의 성질이 바뀌면 일부는 경계면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고 나머지는 굴절된 후 계속 진행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수중에서 폭약이나 압축공기를 폭발시켜 발생시킨 음향을 여러 개의 수중마이크 또는 수신기를 통해 감지하고 이 자료를 분석하여 해저지각 구성 물질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음향탐사방법은 음향의 파장이 길기 때문에 매우 제한된 분해능력을 갖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퇴적층의 경우 해저 퇴적물이나 암반에 구멍을 뚫어 시료를 분석하는 방법을 동시에 이용한다.

해저층이 딱딱한 돌이나 암반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드렛지(dredge) 또는 잠수정의 채집팔을 활용하고, 표층 퇴적물을 채집할 경우에는 굴착기 삽 부분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를 가지고 있는 채집기(grab)를 이용하거나 선박에서 중력을 이용하여 원통관을 해저 퇴적층을 뚫고 들어가게 한 후, 원통관을 회수하는 피스톤코어 등을 이용한다. 또한 어느 지점에서 지구와의 인력 크기는 해양지각의 구성물질에 다르게 나타나므로 중력을 측정함으로써 해양지각의 공간적 변화특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바다의 암석과 퇴적층의 상대적 연령을 알기 위해 지자기를 측정하는 조사를 시행한다.